DSM 9

[Cluster B : 극적이고 감정적이며, 변덕스러운 유형]품행장애

1. 개요 conduct disorer 반사회성 성격장애로 진화하기 전의 아이들이 갖는 정신병. 혹은 초중딩판 반사회성 성격장애라고 하면 이해하기가 쉽다고 한다. 정확히 말하면 반사회성 인격장애를 진단 받기 위해서 15살 이전 품행 장애를 진단 받았던 경력 혹은 그를 의심하기에 충분한 일화가 있어야 한다. 또, 성인이 품행장애를 진단 받기 위해서는 아래의 기준을 만족시킴과 더불어 반사회성 성겨장애의 진단 기준은 만족시키지 말아야 한다. 1.1. DSM - 4 - TR 의 진단 기준 품행장애의 진단기준에는 엄격한 진단이 필요하며 일회성일 경우는 진단 할 수 없다. 평가시 언어표현력의 부족이나 환자의 적대적 태도 등으로 이해 면담이 쉽지 않을 수가 있기 때문에 진단 시 학교나 가정에서의 행동에 대한 정보를 ..

- 2016.09.27

[Cluster A : 별나거나 이상한 유형]분열형 성격장애

1. 개요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조현병이 심하지 않은 때, 분열형 성격장애라고 부른다.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조현병만큼 이상하지는 않지만 어쨌거나 정신 질환으로 보이는 것은 마찬가지다. 마술적인 사고, 이상한 환각과 기이한 신념 등 조현병 증세는 다 갖고 있다. 환각과 망상이 지나쳐 본인을 신(...) 등의 특별한 존재라고 주장하기도 한다고 한다. 심지어 재수 없으면 진짜로 조현병으로 진행되기도 한다고.. 물론 가능성은 낮은 편이라고 한다. 이 역시 분열성 성격장애처럼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오진되는 비율도 만만치 않다고 한다.만인이 사랑하는 아스퍼거 증후군 아예 '후천적 자폐증'이라고 설명되기도 한다고 한다. 여담으로 경계선 성격장애가 '신경증과 정신증의 경계선상에 ..

- 2016.09.27

[정신병의 분류]신경증

1. 정의 정신병을 나누는 분류 중 하나. 정신병은 크게 정신증과 신경증, 두가지로 나뉜다. 사회에서 묘사 되는 반사회적이거나 창작물에서 묘사 되는 정신 병원의 이미지는 정신증적 정신병이며, 신경증적 질환을 앓는 사람들은 사실 정신적으론 정상이고, 현실 판단에도 크게 문제가 없다. 경증의 정의가 명확해지기 전에는 '신경쇠약', '노이로제' 등의 단어로 표현되곤 하였으며, 2015년까지도 일반인들은 물론 방송 매체에서도 자주 사용한다. 신경증은 현실 판단력에 큰 문제가 없으며, 정상적인 사회 생활을 유지하는데 큰 문제가 따르지 않는다. 하지만 중추신경이나, 신경 전달 물질 등의 장애로 여러가지 주관적인 불편함을 느끼거나 감정 조절, 충동 조절이 힘들고 또 쉽게 불안해지는 정신병 군을 지칭한다고 한다. 정신..

- 2016.09.23

[정신병의 분류]정신증

1. 정의와 개요 정신병을 이루는 큰 분류 중 하나. 정신병은 크게 신경증과 정신증으로 나뉘는데, 그 중 정신증적 증상을 정신증이라고 서술한다.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정신병의 범주에 해당한다. 자신이 하는 행동이 옳다고 생각하며, 환청이나 환각을 현실과 구분하지 못한다. 이 질병의 특징으로는 자신이 무엇을 했는지 기억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현실과 자신의 망상을 동일시하여 피해망상 등 자신을 무조건 피해자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감정의 기복이 신경계 이상인 충동 장애나 기분 장애와 다르게 뇌 단위에서 이루어지며, 자신의 감정기복 순환을 당연한 것처럼, 또는 자기 감정의 변화를 우주적 스케일의 문제인 것처럼 여기기도 한다. 이 점에서 우울증과는 다른 질환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뇌 속에서 자신이 ..

- 2016.09.23

[정신증]편집증(망상장애)

1. 정의 妄想障碍. delusional disrder. 정신증의 일종. 망상장애란 말 그대로 망상을 너무 심하게 하는 증세를 가리킨다. 괴이하지 않은 망상이 주 증상이며, 다른 정신과적 질환보다는 사회적 · 직업적 기능이 상대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인다. 흔히 편집증(便執症; paranoia) · 편집병 · 편집광이라고도 하는데 이때의 편집은 編輯이 아니라 便執으로 '편견을 고집하고 남의 말을 듣지 않음'을 의미한다고 한다. 2. 증상 및 원인 일상 생활에 문제가 없으며, 성격이나 외모에 대해 별다른 문제가 보이지 않으나 가끔씩 망상으로 인해 의심과 적개심이 많으며, 다소 이상하고 기묘하게 보일 수도 있다. 기분은 망상의 성격에 따른다. 조현병에서 보이는 환청 등의 심각한 지각 이상을 보이지 않고 망..

- 2016.09.11

[Cluster A : 별나거나 이상한 유형]분열성 성격장애

1. 정의와 개요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성격장애의 유형 중 한가지. 대인관계 및 사회활동에 대한 흥미가 없고, 감정적으로 차가운 면모를 보이는 것이 특징. 분열형 성격장애와 정신분열증(...)과 이름이 비슷해 혼동하는 경우도 많으나 이와는 많이 다르다. 하지만 병행이 되는 질병들이다. 타인과 관계를 맺는데 관심이 없다는 점은 회피성 성격장애, 우울증과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이 경우는 타인에 대해 아무런 애정도 보이지 않으며, 아예 본인에게 사람을 사귀고자 하는 필요나 욕구 자체가 없다는 점이 다르다. 이와달리 회피성 성격장애는 사람이라던가 우울증의 경우는 사귀고자 하는 욕구 자체는 있으나 거절 당할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사람들에게 다가가지 못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 2016.09.06

[Cluster A : 별나거나 이상한 유형]편집성 성격장애

Paranoid pd. 1. 정의와 개요 망상성 성격장애(인격장애)라고도 부른다. 항상 타인이 약한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근거 없이 오해하고 의심한다. 자신을 지키기 위해 더욱 방어적이고 냉정한 태로를 취하게 된다. 학지사에서 발간한 '성격장애의 인지치료'란 책에서는 편집증과 편집성 성격장애를 동의어로 취급해 좋은 서술이 꽤 많이 보이지만, 편집증과 편집성 성격장애는 둘이 다른 병이다. 그리고 모든 질환이 그렇지만, 편집성 성격장애의 경우 가족들과 주변 사람에게 견디기 힘든 엄청난 스트레스를 준다고 한다.남의 행동 전체의 의도를 의심하니 당연히 그렇다 그렇다고 해서 성격장애 전부가 민폐 끼치는 건 아니라고 본다 특히 환자와 평생을 같이 하는 가족들 입장에서는 정말 미칠정도로 괴롭다고 한다. 그 스트레스가..

- 2016.09.05

'DSM'의 정의

1. 정의 미국 정신의학회(APA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에서 출판하는 서적으로, 정신질환을 기준으로 사용되는 서적, 정신질환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하여, 각종 정신질환의 정의 및 증상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들을 제시한다. 비슷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책으로는 WHO뭐? 발행하는 질병 및 관련 건강 문제의 국제적 통계 분류(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이하 ICD) 가 있다. DSM은 정신질환에 집중하는 반면, ICD는 모든 종류의 질병을 다룬다.ICD는 주로 유럽에서 사용된다고 하며, 그 외에는 DSM을 가이드라인으로 한..

- 2016.09.04

성격장애의 정의와 주의사항

1. 사회적 / 사전적 정의 정신병의 일종으로 다른 이름으로는 인격장애라고 불린다. 미정신의학회에서는 지속적인 주관적 경험과 행동으로 문화적 표준에 벗어나 있고, 전반적이고 완고하며 청소년기나 청년기에 시작되어, 계속적으로 생활에 불행과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로 정의한다고 한다. 성립되는 조건은 흔히 성격이 당사자나 주변인이 정상적으로 살지 못할 정도로 이상하다면 성격장애라고 보면 된다. 물론 다 그런건 아닌 것 같다.성격 조금 이상하다고 성격장애로 모는 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다 진단이 어째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식이다. 일반 인구의 10~20% 이상이 성격장애를 적어도 한 종류씩은 앓으며, 다른 정신질환이 동반 할 때도 있다고 한다. 성격장애의 성별별 발병 빈도는 함부로 일반화 하기 곤..

- 2016.09.04